본문 바로가기
TCD

TCD 뇌혈류초음파 뇌혈류구조 판독의 이해 기본정리2

by neuronncs 2023. 4. 13.
반응형
TCD 뇌혈류초음파 뇌혈류의 구조

뇌는 한 쌍의 앞쪽 내경동맥(ICA, Internal carotid artery)과 한쌍의 추골동맥(VA, Vertebral artery)을 통하여 혈류를 공급받는다. 내경동맥을 타고 가는 혈류는 전방순환계(Anterior circulation)라 하며 전대뇌동맥(ACA)과 중대뇌동맥(MCA)에 혈류를 공급하고, 추골동맥을 타고 가는 혈류는 후방순환계(Posterior circulation)라 하며 추골동맥(VA)과 기저동맥(BA)을 지나 후대뇌동맥(PCA)으로 혈류를 공급한다. 좌우의 전대뇌동맥 사이에는 전교동맥(Anterior communicating artery)이라는 가로의 길이 있다.

각 측의 후대뇌동맥과 중대뇌동맥과의 사이에는 후교통동맥(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이라는 세로의 길이 있다.

이 고리는 윌리스 환(Willis circle)이라 하며 뇌로 가는 동맥이 장애를 받아 혈행이 정지되더라도 뇌의 기능에 피해를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안전장치의 역할을 한다.

TCD WINDOW
TCD

TCD 뇌혈류초음파검사 WINDOW란?

자연적으로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는 천연적인 곳으로 측두창, 후추창, 궤도창 3개의 창이 존재한다.

물론 나이가 들어가며 천연적인 Window가 맞혀버려 측정 불가상태도 있다.

창이란 두개골 위에서 초음파를 발사하여 두개골 안으로 잘 통과시킬 수 있는 부분으로 이곳에 probe(탐촉자)를 위치시켜 초음파를 발사한다. 이곳은 전체 두개골 중에서 가장 얇은 부분으로서 초음파가 뼈를 투과하지 못하는 속성 때문에 window에서 측정하여야 한다.

TCD WINDOWTCDWINDOW
TCD

 

·창의종류

(1) 측두창(transtemporal window) : 2 MHz probe 이용

     -보통 관자놀이라 부르는 부분으로 귀의 1cm 앞부분을 말한다.

     -측정혈관 : MCA(중대뇌동맥), ACA(전대뇌동맥), PCA(후대뇌동맥)

 

(2) 후두창(transforaminal window) : 2 MHz probe 이용

    -목 뒷부분

    -측정혈관 : BA(기저동맥), VA(추골동맥)

   

(3)안와창(transorbital or transoccipital window) : 2 MHz probe 이용

   -눈동자 위부분

   - 측정혈관 : OA(안와동맥)

 

(4) 하악창(submandibular window) : 4 MHz probe 이용

  -측정혈관 : ICA(내경동맥) -고혈류 - 저저항형태

                    CCA(총경동맥) 

                    ECA(외경동맥) -저혈류 - 고저항형태

경측두골검사 - 2 MHz 
(Transtemporal approach)
측두창은 위부분이 피부로부터 분리되는 부분의 바로 앞부터 시작하여 앞쪽을 후창(posterior sindow), 눈썹 옆의 전두돌기쪽은 전창(anterior window), 전창과 후창 사이를 중창(middle window)으로 나누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후창에서 혈류가 가장 잘 잡힌다. 경측두골층정에서 이용되는 동맥은
중대뇌동맥(Middle Cerebral Artery), 전뇌동맥(Anterior Cerebral Artery), 후뇌동맥(Posterior Cerebral Artery)이 있다.
측두창
(temporal window) 
경안와검사 - 2 MHz
(Transorbital approach)
2MHz의 probe를 이용한다. 백내장과 수정체의 손상을 막기위해 초음파의 power는 17w/㎠을 넘지 않도록 한다. 환자에게 렌즈 착용 유무를 확인하여 제거 후 검사한다.
경안와 측정에서 이용되는 동맥은
안동맥(Opthalmic Artery), 내경동맥(Internal carotid artery), 사이폰이 있다.
안와창
(Orbital window)
후두골하검사 - 2 MHz
(Suboccioital approach)
후두골의 occipital protuberance 아래에 probe를 대고 약간 위쪽으로 이동시키면서 기저 동맥의 혈류를 측정한다. 
후두골하측정 동맥은 추골동맥(Vertebral artery), 기저동맥(Basilar artery)이 있다.
후두하창
(Suboccioital wondow)
하악골하검사 - 4 MHz
(Submandibular approach)
하악골 아래 부위에서 내경동맥의 맥박을 촉지하고 그 부위에  4 MHz probe를 대고 뒤쪽 방향으로 내경동맥(Internal carotid artery)과 외경동맥(External carotid artery)을 측정한다.
악하창
(Submandibular window)
유양돌기후검사 - 4 MHz
(Retromastoid approach)
유양돌기의 약간 뒤, 아래쪽에 직각으로 probe를 대고 척추로부터 나오는 추골동맥(VA)의 혈류를 측정한다.
유돌기후창
(Retromastoid window)

 

 

TCD 뇌혈류초음파검사 판독의 이해

 

혈관명 측정위치 깊이 평균혈류속도 방향 소리
중대뇌동맥
MCA
측두창-후창,
앞, 위쪽
M1:50~60mm
(근위부)
M2:50~50mm
(원위부)
40세미만 67 ± 15
40~60세  60 ± 12
60세 초과 51 ± 12
+ 수축시 소리가
크고,격렬하다
전대뇌동맥
ACA
측두창-후창,
앞앞, 위쪽
60~70mm 40세미만 59 ± 11
40~60세 46 ± 15
60세 초과 46 ± 15
- 달아나듯 점차 
작아지는 차분한 소리
후대뇌동맥
PCA
측두장-후창,
뒤, 아래쪽
60~70mm 40세미만 31 ± 6
40~60세 35 ± 10
60세 초과 35 ± 10
+ 중저음의 바람부는
듯한 소리
기저동맥
BA
뒤통수아래
눈썹 및 이마를
향하게 함
근위부:70~80mm
원위부:80~90mm
40세미만 42 ± 9
40~60세 36 ± 10
60세 초과 30 ± 7
- 중저음의 바람부는 듯한 소리
추골동맥
VA
유양돌기 2cm뒤,2cm아래
뒤개골에 직각 방향 혹은 머리 중심방향
50~65mm 27±8 - 끼익~거리는 듯한 소림
안와동맥
OA
눈꺼풀 

40~65mm 40세미만 18 ± 4
40세이상 15 ± 5
+/-  
내경동맥
ICA
하악골하에서 맥박을 촉지하고 그 부위에 4MHz도플러로 측정. 4 MHz

40세미만 27 ± 7
40세이상 24 ± 5
-  

 

 

do neurology clinic edu test TCD 초음파뇌혈류

 

 

반응형

댓글